On a cold winter day in 2013.

It was when I was helping record Yello Loko’s EP album at our studio called Nightmare Factory.

It was when we were taking a short break with modest cans of beer. Our brother band, Stakatoz, who were the only other band who did Garage rock in the Busan scene, called.

“Sup, Junsoo? Come get some drinks at Vinyl Underground with us.”

feverdogs

At that time, I was at the pit of my loneliness so it didn’t take too long to decide to ditch my friends at the studio and rush over to Kyung Sung University.

At the empty club, we blasted The Strokes’ newest single “One Way Trigger.” Accompanied with a few shots of tequila, we discussed that Julian Casablancas was a traitor.

The tequila didn’t give me the buzz even without lemon and salt. Maybe it was the cold weather. The thought of finishing Yello Loko’s album lead me into a taxi towards Nightmare Factory.

The white taxi swam around to avoid the crowd. At that moment, I noticed and recognized — that someone who just passed by may be her.

Her tall posture, her unique fit when wearing skinny jeans, her walk.

I didn’t ask the taxi driver to stop. I just gazed at her mindlessly. I thought my feelings for her was long gone, except that was false.

I knew I couldn’t face her. There is nothing I can do now.

She gently leaned her body towards a man and she faded out to a long dark alley with him.

That’s when the night lights of Kyung Sung came to me. It was a bit after midnight. The colorful monsters are wild in the streets. The beats from a hip-hop club with $1 tequila and the beats from a pub with the newest Kpop mixed messily in the street. The ladies with glamorous makeup and the men cruising around the streets like thirsty dogs, without focus in their eyes.

And like it should, it was her that I saw.

I walked about 20 mins in harsh winter night to Nightmare Factory.

Yello Loco had already left when I got to the studio — only a few friends were hanging around.

Like a habit, I picked up my guitar and played A Major with my thumb. With no patterns, I laid a few more chords.

The melody came to very naturally and the meaningless mumble “I like it” became the chorus. Like that, the song “경성별곡” slowly gained its structure.

At that time, we had already selected ten songs. The title song that we had in mind was “High School Blues.”

When the studio emptied, I made a quick demo and sent it out to the members.

When I think back, I don’t think the members liked that my song became the title song probably because it was too personal.

The music video was shot at the streets of Kyung Sung University to find the emotions that I felt that night.

We individually found time to shoot the video for the single scenes. At the end of 2012, Punk’n Roll Circus show, hosted by Nachopupa, used the last bits of the music video.

The concept of the video was the capture the busy streets of Kyung Sung Univiversity with a handheld camera — the members who are dispersed around the corners would gather to play the music. This was my first time editing and shooting. While I did want to capture the unstable and dizzy streets, the feedback that I got was “too dizzy.”

It’s definitely an amateur’s work, but “경성별곡” is one of the most memorable songs that I made.

The moment I tuned A Major chords, among many other chords, like I was possessed.

There was no enemy to stop my hands that rested all the chords that came fluidly.

When can I ever write a song like that?

April 8th, 2014

Junsoo (AstroBoy) from feverdogs

PS. I am positive that I erased everything about her.

경성별곡 (Song for Kyung-sung)
-1st album (Sweet Nightmare) Track.2.


feverdogs – 경성별곡

2013년 어느 추운 겨울.
우리의 스튜디오인 악몽공작소에서 엘로로코(Yello Loko)의 EP 녹음 작업을 돕고 있을때였다.
엘로로코 녀석들과 몇몇 친구들이 모여 맥주를 까고 수다를 떨며 잠시 쉬고 있던 차,
당시 우리와 함께 유일하게 부산 로컬 씬에서 개러지 록을 연주하던 형제 밴드 스타카토즈(Stakatoz)로부터 연락이 왔다.

“어이 준수, 뭐하냐? 바이널(Vinyl Underground)에 술 마시러 온나.”

당시 지독한 외로움에 지쳐있던 상태인 나는 친구들을 작업실에 두고 혼자서 경성대로 달려갔다.
우리는 텅빈 클럽에서 스트록스(The Strokes)의 새 싱글 ‘one way trigger’을 크게 틀어놓으며
줄리안(Julian Casablancas)은 변절자라고 욕을 해대며 데낄라를 몇 잔이고 계속해서 마셔댔다.
레몬도 소금도 없이 들이켰지만 추운 날씨 탓인지 생각보다 술이 취하지 않았고
곧 나는 작업실에서 엘로로코의 작업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악몽공작소로 돌아가기 위한 택시를 탔다.

하얀 택시를 타고 암초처럼 얽힌 사람들 사이로 경성대 밤거리를 물고기처럼 피해다니던 순간, 방금 지나친 누군가가 왠지 그녀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보다 컸던 키, 스키니를 입을때 나오는 특유의 fit, 걸음걸이.

택시를 세우고 내려 그 뒷모습을 한없이 바라보았다. 다 잊어버렸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나는 차마 그녀의 앞으로 다가갈 수 없었다. 지금 와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잖아.

그녀는 어떤 남자의 품에 안기더니 그와 함께 어두운 골목으로 fade out 되었다.

그제서야 경대 밤거리가 눈에 들어왔다. 그때가 막 00시를 넘기던 시간.
알록달록한 괴물들이 거리를 수놓고 있었다. 데낄라를 천원에 파는 2층의 힙합 클럽의 비트와 맞은편 Pub에서 나오는 최신가요의 비트가
어지럽게 뒤섞였고 화려한 화장을 한 여자들과 흐리멍텅한 눈으로 목마른 개처럼 거리를 쏘다니던 남자들.

언제나 그랬지만 뒷모습을 보인 것은 결국 그녀였다.
나는 추운 밤거리를 걷고 걸으며 악몽공작소로 20분을 들여 걸어갔다.

스튜디오에 도착하니 엘로로코는 가버렸고 몇몇 친구들만이 작업실에 남아있었다.
나는 기타를 꺼내 손버릇처럼 엄지를 사용해 A Major 코드를 잡았고
어떤 패턴을 생각할 겨를이 없이 코드 몇개를 더 배치하였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멜로디와 뜻없이 흥얼거렸던 I like it 이란 후렴구를 이용해 경성별곡의 뼈대를 마련했다.

당시 우리는 1집을 위한 곡을 10개를 선정한 상태였다. 당시의 타이틀곡은 하이스쿨블루스였다.
친구들을 보내고 나는 경성별곡의 데모를 만들어 멤버들에게 전달했다.

지금 생각하면 그들은 이 곡을 타이틀로 삼는 것을 썩 맘에 들어하지 않았다.
너무 개인적인 곡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뮤직비디오는 당연히 이 날 느꼈던 정서를 위해 경성대 밤거리에서 진행하였다.
각자 스케쥴을 잡아 개인적인 컷들을 찍었고 2012년 말에 나초푸파(Nachopupa)가 기획하는 펑큰롤써커스(Punk’n Roll Circus) 공연에서의
영상을 후반부에 활용했다. 핸드헬드캠의 어지러운 느낌과 경성대 구석구석에 흩어져있던 멤버들이 마지막에 한데 모여
열정의 무대를 만든다는 컨셉 아래 만들었으나 나 역시 제대로 된 촬영과 편집은 처음이었기에 화면이 어지럽다는 핀잔을 곧잘 들어야 했다.

여러모로 서툴고 엉망진창인 곡이지만 경성별곡은 내가 만들었던 곡 중 가장 기억에 남을만한 곡이 되었다.
무언가에 홀린듯 돌아와 수많은 코드 중 A Major 코드를 잡게 만들었던 그 순간.
그리고 아무런 계획없이 손버릇대로 움직였던 코드들 모두 흐름을 거스르게 하는 것들은 없었다.

언제 다시 한 번 그런 식으로 곡을 쓸 수 있을까?

2014년 4월 8일.

추신 – 그리고 다짐컨데 나는 그녀에 관한 모든 것을 잊어버렸다고 확신한다.

경성별곡 (Song for Kyung-sung)
-1st album (Sweet Nightmare) Track.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