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과 곡 작업을 위한 공간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우리는 서울 시내 거의 모든 지하실을 둘러본 끝에 드디어 적당한 곳을 찾아냈다. 이곳을 연습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방음 공사가 필요했는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우리가 직접 시공하고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부분만 업자(이하 ‘아저씨’)에게 맡기기로 했다. 하지만 아저씨들이 공사 일정을 지키지 않아 예정에 없던 일까지 우리가 모두 하게 되었고, 우리는 하루하루 작업을 해나가며 기술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었다.
As we desperately needed a space for practicing and composing, we pretty much combed through all the basements in Seoul and finally we found a good place. To make this space for the band, we needed construction.
In hopes to reduce some cost on the construction, we decided to handle most of it except some of the highly technical stuff, which was contracted to a technician (aka Ajusshi). Unfortunately, the Ajusshis weren’t too keen on the schedules so we ended up taking on more tasks than we anticipated. Our skills as technicians upgraded as days went by.
Day 1 (10월 3일 목요일)
우리가 구한 공간은 직장인 밴드가 사용하던 곳이라 나름의 방음 설비가 되어 있긴 했는데,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다 뜯어내고 새로 작업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바깥쪽의 휴게실은 석고로 된 벽면이 군데군데 파손되어 있어서 벽면 전체에 퍼티를 바른 후 페인트를 칠하기로 했고, 안쪽의 연습실은 부실한 벽면을 석고보드로 보강하고 울퉁불퉁한 시멘트 바닥에 OSB 합판을 깔기로 했다.
아침 10시부터 여러 가지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었는데, 역할을 분담하여 정준이는 아저씨들과 함께 연습실 석고보드 작업을, 효철이와 민수는 휴게실 벽면 퍼티 작업을, 그리고 나는 전기 담당 아저씨와 함께 분전반 교체를 위한 배선 작업을 했다.
이날은 하필이면 CJ아지트에서 튠업 쇼케이스 리허설이 있는 날이라 저녁 7시에 작업을 끝내야만 했는데, 아침부터 계속된 작업으로 인해 굉장히 초췌한 몰골로 리허설에 참여할 수 있었다.
The space we found was actually used by a band, who were businessmen, so it did have some minimal form of sound proofing. However, the conditions were pretty abysmal. The resting area was made with plaster with bunch of holes. We ended up applying a layer of putty on the wall and then painted over it. We fortified the practice room’s weak wall with drywall and the uneven cement floor was corrected with OSB plywood.
Starting at 10am, we all simultaneously started different parts of the practice room. Dividing the tasks, Jungjun put up drywall with ajusshis, Hyochul and Minsu were in charge of the resting area, applying putty on the wall, and I worked with the electrician to change the cabinet panel.
Of course, this was a busy day with a rehearsal at CJ Azit so we had to finish most of stuff before 7pm. With continuous work since the morning, we got to the venue with haggard appearances.
Day 2 (10월 4일 금요일)
이날은 아침 일찍 페인트 가게로 향했다. 휴게실 벽과 천장, 현관문, 연습실 바닥 등을 칠해야 하는데 페인트 값도 만만치 않아서 최대한 색상을 통일하기로 했다. 페인트칠이 생각보다 굉장히 오래 걸렸는데, 휴게실 벽면에 발라 둔 퍼티가 굳으면서 모양은 그럴듯해졌지만 표면이 울퉁불퉁해서 말끔하게 칠하려면 세심한 붓놀림이 필요했다.
연습실 안의 음향(room acoustic)을 좋게 만들기 위해서 공사 전부터 고민을 많이 했지만 답이 나오지 않았다. 무작정 흡음재만 많이 바르면 소리가 먹먹해질 우려가 있었고, 흡음과 반사 모두 적절히 잘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사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결국 벽면에는 기존에 있던 흡음재를 그대로 사용하고 천장 쪽으로 석고보드를 베이스트랩 형태로 부착해 고음의 반사를 돕기로 했다. 예산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이었지만, 결과가 어떨지는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일종의 도박이었다.
이날은 아저씨들이 맡은 작업을 끝내기로 한 날이었다. 그런데 해야 할 일의 절반도 끝내지 못한 데다가 베이스트랩은 한쪽이 비뚤어지고 새로 올린 바닥은 평평하지가 않았다. 이틀째까지 작업이 끝나지 않을 경우 주말에 와서 일을 마치기로 했었지만 약속과 달리 아저씨들은 오지 않았고, 결국 대부분의 작업을 우리 손으로 하게 되었다. (떠올리기만 해도 짜증이 샘솟기 때문에 아저씨들에 관해서는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
Early morning, we headed down to a paint shop. We had to paint the ceiling and walls of the resting area, and the floor on the practicing room. The cost of the paint was expensive so we tried to stay as monochrome as possible. The paint job itself took much longer than we anticipated — the putty on the resting area’s wall hardened with pretty cool texture, which also meant more intricate paint job.
We wanted to get a high quality room acoustics and pondered a lot about how to execute it before construction, but we were left with no solutions. If we were to put too much absorber, the sound would become dull. To engineer the room with right amount of reflection and absorption, the cost were to jump even more. In the end, we used the existing absorber and some plaster around the ceiling to create good reflection on the high notes. It was the best solution within our budget but it was also a gamble since we couldn’t predict the outcome.
The Ajusshis were schedule to finish their part today. However, not even half of the workload was accomplished, the bass trap was having an alignment issue, the floor that we created was not flat. They made a promised to come back to finish the job, but never showed. So we had to finish all the work. (Just thinking about it makes fills me with anger so I should stop talking about the Ajusshis).
Day 3 (10월 7일 월요일)
이날은 CJ아지트 튠업 예선 쇼케이스를 마치고 바로 공사 현장으로 이동했다. 낡고 오래돼 곰팡이를 머금은 흡음재를 연습실 천장에서 뜯어내고, 나무로 된 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오일스테인을 칠했다.
Today, we rushed over to the construction site after the CJ Azit Tune Up preliminary showcase. We scraped off the old rusty molds of the soundproofing from the ceiling and applied an oil stain on the plywood floor.
Day 4 (10월 8일 화요일)
오일스테인과 페인트를 추가로 구매하여 연습실 바닥에 2번째 칠을 하고, 휴게실 벽과 천장 페인트칠을 계속했다. 각목과 퍼티를 사용해 휴게실 벽의 부서지고 구멍 난 부분을 메웠다.
We bought additional oil stain and paint and applied oil stain twice on the floor and painted the wall and ceiling of the resting area. We put putty to fix holes on the wall of the resting area.
Day 5 (10월 9일 수요일)
벽에 바른 퍼티 때문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야 해서 시간이 징그럽게도 오래 걸렸지만, 휴게실 벽과 천장의 페인트칠이 이날 드디어 끝났다. 자다가 천장의 페인트가 흘러내리는 악몽을 꿀 정도로 신경이 많이 쓰였는데, 이제 토요일까지는 잔다리페스타 공연 준비에 집중할 수 있었다.
Because of the texture on the wall, we had to apply several layers of paint, which took a hideously long time, but we finally put an end to painting the walls and the ceiling of the resting area. As I was very worried about the paint job, I suffered a couple of nightmares with dripping paint from the ceiling, but now we can finally concentrated to rehearse for Zandari festival, at least until Saturday.
Day 6 (10월 13일 일요일)
베이스트랩 센딩 작업을 마치고 그 위를 다시 파랗게 칠했다. 연습실 벽면 석고보드 위에 흡음재를 부착하고 천장에 레일 조명을 설치했다. 연습실에 있던 형광등은 휴게실에 추가로 설치했고 그 스위치가 엉뚱한 곳에 붙어 있어 현관 쪽으로 옮기느라 퍼티와 페인트칠을 마친 벽에 긴 홈을 파야만 해서 마음이 아팠다.
We sanded the bass trap and then we applied blue paint on it. We also mounted soundproof foam on the wall of the practice room and installed rail lighting on the ceiling. The fluorescent lighting in the practice room was re-installed in the resting area but the switch for the light was placed at a random place. So we had to move the switch, which meant making holes on the finished wall and that broke my heart.
Day 7 (10월 14일 월요일)
연습실 천장은 남는 아트보드를 발라 간단하게 마감할 생각이었는데, 곰팡이를 머금은 새카만 흡음재를 뜯어내고 보니 상상을 초월하게 불량한 상태의 콘크리트가 모습을 나타냈다. 결국 두꺼운 흡음재를 새로 주문했고, 이걸 천장에 붙이느라 목 근육이 많은 고생을 했다.
휴게실 벽에 생겼던 긴 홈은 그간의 경험을 살려 손쉽게 메울 수 있었고, 이제 공사의 끝이 보이는 듯했다.
At first, we thought of finishing the ceiling of the practice room with the remaining boards, but when we scraped off the soundproof foam that became black because of mold, the cement on the ceiling revealed its horrible condition. We had to place an order for new and thick soundproof foam and to put that on the ceiling, our necks had to endure a lot.
The hole that we made on the resting area, from the light installation, was easily fixed thanks our “experience” we acquired recently. I felt as though I started seeing the end of this construction.
Square the Circle on Facebook.
Square the Circle on Twitter.
Square the Circle on bandcamp.
Read Part Two.
That was very interesting – I hope the band get a lot of productive and enjoyable use of their new room!
Waaah, that looks pretty tough, but I believe the result of your hard work must be quite amazing. Don’t mind the ahjusshis, over here, in Spain, they would even leave without finishing their job and ask for big bucks (all hail DIY). Looking forward to part two, che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