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Part One
Day 8 (10월 15일 화요일)
열고 싶은 마음이 전혀 들지 않게 생긴 낡은 현관문을 깔끔하게 만들기 위해 페인트를 칠했다. 빨간색을 사용하고 싶었지만 현관문이 너무 새빨가면 안 될 것 같아 오렌지색에 가까운 등색 유성 페인트를 사 왔는데, 막상 칠하고 보니 그냥 빨간색이나 다름이 없어서 아주 마음에 들었다.
복도에 있는 전등은 계단 위아래에서 모두 켜고 끌 수 있어야 하는데 스위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다닐 때마다 신경이 쓰였다. 몇 번의 시도 끝에 전선과 스위치에 모두 문제가 있다는 걸 알아냈고 드디어 고치고 나니 기분이 매우 상쾌했다.
The door, which looked like no one would want to open it, was also repainted. We really wanted to use red paint on the door but didn’t want to go overboard so we bought orange but when it dried, it almost looked like red — it was meant to be and we were extremely pleased.
The light in the hallway should be controlled from both ends of staircase but the switches didn’t work well, which annoyed me every time I visited. After a few tries, we found out that all the switches had some kind of problem. We got to fix it all and we were really happy.
Day 9 (10월 16일 수요일)
새로 바른 퍼티가 마른 곳에 다시 페인트를 칠하고, 전날 칠한 현관문에 전자 도어락을 설치했다. 청소하고 쓰레기를 잔뜩 내다 버리고 나니 이제 좀 사람 사는 공간 같았다.
We painted another layer over where the putty dried and installed an electronic door lock. We cleaned and took mounds of trash out — at last, it felt cozy.
Day 10 (10월 17일 목요일)
온갖 화학약품과 근성을 총동원해 휴게실 바닥에 묻은 페인트와 퍼티 자국을 지우고, 휴게실 한쪽을 창고로 만들어 짐을 정리했다.
We used some chemical solutions to wipe out paint and putty stains on the floor, created a storage space to organize the materials.
Day 11 (10월 19일 토요일)
집에 있던 악기와 각종 장비를 포함해 모든 짐을 연습실로 옮겼다. 창고를 가리기 위해 커튼레일을 설치하고, 휴게실과 복도 사이에 난 창문을 막아 깔끔하게 만들었다.
Instruments and other tools finally moved into the practice room. To hide the storage space, a curtain rail was installed and we blocked a random window looking out from resting area to the hallway.
Day 12 (10월 21일 월요일~10월 22일 화요일)
이날은 남은 작업을 모두 끝내기로 하고 모였다. 각목과 아트보드를 사용해 너절한 문틀을 말끔하게 만들고, 페인트를 칠할 수 없는 휴게실 벽면 일부와 연습실 문에도 남는 아트보드를 잘라 붙였다.
드디어 연습실에 악기를 배치하고, 컴퓨터와 모니터 스피커를 설치하고 나니 새벽 6시. Foo Fighters의 Wembley 공연 영상을 틀어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하자 온몸이 아플 정도로 기뻤다. 3주간 먼지와 냄새만 가득하던 공간에 처음으로 음악 소리가 나던 순간이었다.
This day, we were determined to complete everything. Using some lumber and boards, we transformed the shady-looking doorway into a real doorway and we put some boards on the wall where we couldn’t paint.
We arranged the instruments, computer, monitor, and speakers in the practice room. The clock pointed to 6am when we finished. We put on the footage of Foo Fighters’ Wembley performance and when the sound filled the room, we knew everything was working correctly — we were too thrilled that our bodies started aching. The space that was full of smells and dust was filled with music after three long weeks.
Day 13 (10월 23일 수요일)
청소는 아무리 해도 끝이 없다. 100리터 쓰레기봉투 2개를 채워서 버렸다.
There is absolutely no end to cleaning. We quickly filled two 100 litter trash bags and took them out.
Day 14 (10월 24일 목요일)
마이크와 스피커를 연결하고, 드디어 새 연습실에서의 첫 합주. 지난 3주간의 온갖 고생이 결실을 거두려면 소리가 좋아야만 했다. 셋리스트의 곡들을 한번씩 돌리고 나니 다행히도 음향이 매우 만족스러웠는데, 생각했던 대로 적당한 흡음과 반사가 이뤄져 좋은 울림을 갖는 공간이 되었다. 물론 고급 스튜디오에 비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 손으로 만든 공간이기에 무엇보다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We wired mics and speakers and began our first jamming session in our new practice room. The three long weeks could only be justified if the room actually had good acoustic. After playing the setlist, we were satisfied with the sound. As we hoped, the job of the absorber and reflector produced pretty good acoustics. Obviously, it doesn’t compare to some expensive studios, but since we made this space with our bare hands, we felt fulfilled.
Square the Circle on Facebook.
Square the Circle on Twitter.
Square the Circle on bandcamp.
짧지만 많은 노력들이 담겨있는 글 잘 읽었어요. 고생스러웠겠지만 마지막 영상을 보니 보람있는 결과를 얻은 듯 해요. 앞으로도 스퀘어더써클의 좋은 음악과 활동들을 기대할께요.
Wow! They did such an amazing job there. I enjoyed this post and get to know square the circle more!